본문 바로가기
IT 전자

자급제 알뜰요금제로 통신비 절약하기, 지금 당장 바꿔도 손해NO!

by ▨▣௹₫₩﷼¶µ 2021. 1. 19.

 

 

:: 알뜰폰? 알뜰요금제?

알뜰폰이나 알뜰요금제라는 말을 들었을때 여러분은 어떤 느낌이 드시나요?

저는 사실 알뜰폰? 알뜰요금제? = 효도폰 이라는 이상한 고정관념이 있었어요. 왜 그런지 모르겠지만 알뜰폰이 처음 나왔을때 우체국에서 먼저 시작한 것 같은데 대부분 가입하는 대상이 부모님 세대 어르신들 이었거든요. 첨엔 몇세대는 지난 핸드폰이 알뜰폰이라고 해서 홍보하던 느낌이 그 이후에는 관심조차 가지지 않다가 그대로 머릿속에 굳어졌었나봐요. 

 

그러다 최근 세계적인 바이러스 사태로 직장도 가정도 허리띠를 졸라메야 하는 상황이 생기자 가계부를 들여다보며 과연 어디에서 새는 돈을 조금이라도 줄일 수 있을까 고민하기 시작했었죠. 전염이 무서워 바깥출입을 하지 않으니 옷이나 신발, 악세서리 같은 것들에 쓰는 돈은 자연스레 줄었지만 대신 엄청나게 불어난 식비는 어쩔 수 없더라고요. 그러다 문득 눈에 들어온 '통신비'. 2년이 지나 약정도 없지만 한달에 5만원씩 나가고 있는 통신비를 줄일 수 없을까? 요금제를 바꿔보자. 라는 생각이 들었었죠.

 

당시 쓰고있던 요금제는 데이터 3GB에 통화200분/문자무료 였는데 통화나 문자는 그렇다쳐도 데이터는 한달 3GB가 너무나 모잘랐어요. 회사나 집에서는 와이파이 쓴다고 해도 출퇴근시 버스나 지하철에서 웹툰이나 유튜브 잠깐씩 보는것도 금방 데이터가 소모되어 버리더라고요. 요금제를 더 낮추자니 데이터가 너무 적고 데이터를 올리자니 요금이 쑥쑥올라가서 한숨만 쉬고 있던 찰나에 갑자기 떠오르더라고요. 알뜰요금제는 어떨까? 

 

 

:: 알뜰요금제 는 어디서?

잊고 있던 알뜰요금제가 떠오르니 그제서야 알수없는 유튜브의 알고리즘들이 알뜰하게 살라고 여기저기 이끌어줬던게 생각났습니다. 광고도 많이 나왔었구요.  우선 어떤 요금제가 있는지 네이버와 다음에서 검색을 해봤습니다. 

 

네이버와 다음비교

음, 광고인데 광고같기도 하고 아닌것 같기도 하고 햇갈리더라고요. ㅎㅎ 실제로 여기저기 알아본 후에 다시보니 많이 사용하는 알뜰요금제 사이트는 '알뜰요금제'로 검색이 안되는 경우도 많더라고요.

 

우리가 알뜰폰 하려는 이유는 믿을 수 있고 저렴하게 하기 위해서니 알아본 내용을 추려서 정리해 드립니다. 아래 사이트만(사실 거의 대부분;;) 보셔도 알뜰요금제 특가는 대부분 파악하실 수 있으리라 봅니다.

 

단, 매달 가입하는 혜택이나 특가요금제가 달라지니 관심있게 지켜보시다가 딱 맞는 요금제가 나온다면 가입하시기를 추천 드려요.

 

헬로모바일(LG)

direct.lghellovision.net

세븐모바일(SK)

www.sk7mobile.com

M모바일(KT)

www.ktmmobile.com

이지모바일

www.egmobile.co.kr

스노우맨

m.snowman.co.kr

에넥스

www.annextele.com

모빙

www.mobing.co.kr

유모비

www.uplussave.com

위너스텔

www.idowell.co.kr

프리티

www.freet.co.kr

아이즈모바일

www.eyes.co.kr

스마텔

www.smartelmall.com

티플러스

www.tplusmobile.com

에스원

www.s1mobile.co.kr

리브모바일

www.liivm.com

이야기알뜰폰

www.eyagi.co.kr

*표는 요금/혜택/순위와는 상관없음

 

전 12월에 KT망으로 데이터 10G + 통화 300분 + 문자 300건 으로 한달 12,100원 특가 요금 (12개월 유지) 유심무료 혜택 받고 가입했어요. 이전 통신사가 KT였는데 알뜰폰은 같은 KT라도 다른 통신사로 치기때문에 가입된다고 하더라고요. 온라인으로 신청서 작성하고 유심배송받고 전화해서 개통확인했더니 빠르게 개통되었습니다. 

 

부부가 통신비 한달 10만원에서 2만5천원대로 줄이면서 7만5천원씩 절약하게되어 아주 만족하며 사용중이에요!

 

 

:: 알뜰요금제 가입 팁 

1. 유심 무료 이벤트

각 사이트마다 매달 이벤트를 눈여겨 보시면 유심을 무료 증정하는 이벤트를 진행하는 곳들을 찾을 수 있습니다.

만약 데이터 1GB + 통화무제한 + 문자무제한 인 요금제가 A업체는 5,000원(유심무료)이고 B업체는 4,000원(유심구매)인 경우에는 당연히 A업체를 이용하는게 저렴할 수 있겠죠?

 

2. 요금제 적용 기간 확인하기

알뜰요금제는 별도의 약정은 없지만 해당 요금제의 유효기간이 존재합니다. 특가 요금제에 따라 어떤 건 6개월까지 적용되고 어떤건 8개월, 10개월, 12개월, 24개월 또는 평생적용 가능한 요금제도 있습니다. 6개월 적용 가능한 요금제는 저렴한대신 7개월차에 접어들게되면 요금이 거의 1.5배에서 2배 가까이 높아지는 경우가 있으므로 개통한 날짜에 맞춰서 해당 기간이 도래하기전에 다른 요금제 통신사로 변경해줘야 합니다. 약간은 요금제유목민 같은 느낌이 들기도 하는데 금액적인 메리트가 있으니 감수해야 될 부분이겠죠? ㅎㅎ

 

3. 데이터 무제한 요금은 글쎄...

각 통신사 홈페이지에 메인에는 항상 데이터 무제한 월 33,000원!! 과 같이 대부분 3만원대 데이터 무제한 요금제를 찾아볼 수 있는데요. 물론 메이저 통신사에 비해 무척 저렴한 요금임에는 틀림없지만 우리나라처럼 모든곳에서 와이파이가 빵빵 잘 터지는 곳도 없는 만큼 이를 잘 활용해야겠죠? 

집이나 직장 학교에서 적절하게 와이파이를 사용한다면 한달에 최대 10~15G 이상은 사용이 어려울 것 같은데요. 무제한 요금제가 아니더라도 이정도 데이터 요금제는 1~2만원대 초반으로도 얼마든지 변경이 가능합니다. 또는 이러한 제한적인 요금제를 선택할 경우 해당 데이터가 소진된이후 추가 제공되는 데이터 속도를 주목해 볼 필요가 있는데요.

데이터가 소진되고 난 이후에도 3~5Mbps를 제공해준다면 유튜브 시청 정도는 무리없으므로 추가적인 데이터는 불필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300~400Kbps 제공해주는 요금제라면 조금 고민해볼 필요가 있을 것 같아요.

 

:: 알뜰요금제는 누가 써야 이득일까?

그러면 알뜰요금제는 어떤 사림이 쓰면 더 이익일까요?

우선 메이저 통신사를 쓰고 있는 사람중에 곧 약정이 끝나는 사람, 이미 약정이 끝난 사람, 통신사 할인을 이용하지 않는 사람, 공기계 또는 자급제 핸드폰을 신규로 구매한 사람등은 알뜰요금제와 결합하면 더욱 낮은 요금으로 좋은 시너지를 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미 대형 통신사에서 SKT 통신사 결합할인 30년 50% 또는 KT 구결합 50% 와 같이 좋은 할인조건으로 요금납부를 하고 계신분들은 굳이 알뜰요금제로 옮겨오실 필요는 없을 것 같아요. 오래토록 혜택 받으면서 기기변경으로 유지하는게 훨씬 이득 일 수 있거든요. 

 

:: 알뜰요금제는 구형 핸드폰만 가능?

얼마전 아이폰12 가 출시됐을때 아주 대란이 일어났었죠. 인터넷 자급제폰 사전예약은 시작 1분만에 매진 될 정도로요. 애플의 인기를 아주아주 실감했던 날이기도 했는데요. 예전에는 알뜰폰이라고 해서 구형이나 폴더폰 처럼 어르신들 위주로 쓸 수 있었다면 지금은 신형 핸드폰도 처음부터 통신사 약정없이 공기계를 구입하여 스스로 편한 요금제를 이용할 수 있게끔 하고 있습니다. 이번에 출시된 삼성 갤럭시 s21도 마찬가지구요.

 

대리점에서 2년 약정끼고 각종 할인이다해서 구입하는게 이득인지 자급제로 구입해서 알뜰요금제 이용하는게 이득인지 어려워 하시는 분들이 많은신대요. 직접 간단하게 비교한 내용을 아래에서 확인해보세요.

 

요금은 통신사마다 차이는 있겠지만 갤럭시 S21 256GB 모델 기준으로 번호이동으로 알아봤을때 2년 약정 + 5G 요금제 + 기기값 이면 최소 한달 11만원에서 18만원 정도까지 올라가더라고요. 데이터를 어느정도 여유있게 쓰는 분이라면 약정 끝날때까지 한달 15만원 * 24개월이니 360만원 정도 나오겠더라고요. 

반면 자급제로 구입할 경우 S21 기기값 999,000원 + (알뜰요금제 15,000원 * 24개월) = 1,359,000원 이니 엄청난 차이라고 볼 수 있어요. 

 

알뜰요금제는 나이가 많거나 고령층에서 사용한다는 인식이 있었던 저도 막상 써보니까 젋은층에게 오히려 더  유용하고 좋은 요금제인 것 같더라고요. 기존 사용하는 핸드폰 약정이 끝나가거나 이미 끝나셔서 어떻게 해야 할지 망설이고 계신분들이라면 또 새로 핸드폰을 구매할 에정이신 분들도 자급제로 구매하신 후 알뜰요금제로 이용 꼭 한번 해보셔서 통신비 절약 하시기 바랍니다!.

 

 


댓글